
- HOME >
- 의학정보 >
- 소화기계
소화기계
파마킹에서 연구하고 있는 질환별 의학정보를 제공합니다.
- 간에 대하여
-
간의 구조
간은 복강 내 오른쪽 상복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크기는 성인은 자신 몸무게의 약 2%를 차지하고, 무게는 1,000~1,500g 정도로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입니다. 간은 해부학적으로 오른쪽 가슴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갈비뼈가 감싸고 있습니다. 간의 형태는 마름모꼴이며 건강한 사람은 매끈한 암적색입니다. 또한, 우엽과 좌엽으로 구분하고 간의 혈류는 간동맥과 문맥을 통하여 유입됩니다. 간동맥은 심장에서부터 산소가 많은 혈액을 간에 공급하고 문맥은 장관에 흡수된 영양분이 많은 혈액을 간에 공급합니다. 담관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간 내 담관을 통해서 담낭에 저장하고 식사 시에 총수담관을 통해서 십이지장으로 배출합니다.
간의 구조
1) 체내 에너지 대사 조절
우리 몸의 위, 소장, 대장을 통하여 흡수된 영양분(당, 지방, 단백질)은 간에서 대사 과정을 통하여 우리 몸에 필요한 성분으로 만들어 다른 장기로 보내는 역할을 하거나 몸에서 쓰고 남은 영양분은 간에 축적됩니다.2) 필요한 단백질, 효소 및 비타민 합성
간에서는 하루에 1500mL 정도의 담즙을 생산합니다. 담즙은 담즙염을 통하여 장내 지방흡수를 촉진하며, 담즙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질을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혈액 응고, 물질 이동, 철 결합, 단백질 분해 억제에 관계되는 많은 단백질을 합성합니다.3) 여러 독성 물질의 해독 작용
우리 몸은 매일 많은 종류의 해로운 화학물질에 노출되게 됩니다. 간은 이러한 해로운 화학 물질들을 많은 효소들의 반응 경로를 통하여 해독하는 작용을 합니다.4) 체내 방어기전 담당
장에는 인체에 유해한 세균들이 많이 있어서 장에서 흡수되어 문맥 혈류를 따라 간에 도달하는데, 간에 있는 특수 세포가 이러한 유해한 세균들을 포식해서 제거합니다.파마킹 관련 제품
- 간질환 종류와 증상
-
간질환 종류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은 그 지속기간에 따라 급성 간질환과 만성간질환으로 나눕니다. 급성 간질환으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예로는 간염 바이러스나 약물에 의한 급성간염이 있으며, 만성 간질환으로는 과음에 의한 지방간, 만성간염, 간경변, 간암 등이 있습니다.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급성간염이 제대로 낫지 않아서 6개월 이상 지속되어 만성간질환으로 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간질환 증상
간을 ‘침묵의 장기’라고 흔히 얘기하는데, 이는 간이 신체에서 가장 큰 장기임에도 불구하고 간에는 통증을 느낄 수 있는 신경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간은 재생력이 우수하고 작용능력이 여유가 있어서 손상을 받더라도 쉽게 원래 상태로 복구될 수 있고, 정상간의 3분의 2를 잘라내어도 나머지 간이 정상적인 기능을 해 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간질환이 생기더라도 나머지 간세포들이 전체의 기능을 해 내는 동안은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간질환의 증상은 세 가지 특징이 있는데, 첫째, 간질환이 있어도 증상이 없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고, 둘째, 증상이 있더라도 피로, 식욕부진, 소화불량 등 간질환만의 특이한 증상이 아닌 것으로 나타나며, 셋째, 일반적으로 간질환의 특이한 증상이라고 알려져 있는 황달, 복수 등은 간질환이 많이 진행되어서야 비로소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간 손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어려운 이유
출처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파마킹 관련 제품
- 간질환 정보 +
- 간질환 검사
-
간질환 검사
일반적으로 간질환또는 간손상)을 진단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하는 것은 AST(과거의 SGOT)나 ALT(과거의 SGPT)를 포함하는 ‘간기능검사’(혈액검사)입니다. 이 혈액검사의 해석에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있습니다.
첫째, 한두 가지 항목이 아니라 여러 항목을 함께 검사하여 전체적으로 해석하여야 하고, 둘째, 임상적인 맥락에서 이해하고 해석되어야 하며, 셋째, 어느 한 시점의 검사를 완전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오류의 위험이 크므로 여러 차례 검사하여 경과를 파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간손상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단 한 번의 검사가 아니라 여러 차례 추적검사를 하여 그 결과에 대한 적절한 해석이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간기능검사의 주요 항목
출처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간기능 검사
혈액내 생화학적 수치의 변동을 보는 방법으로써 가장 흔히 시행되는 검사법입니다. 간에 문제가 생기면 간기능에 손상이 와서 혈액 내에 여러 가지 생화학적 검사의 이상이 나타나므로 이를 검사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한가지만으로 간의 이상을 다 파악할 수 없으므로 여러 가지 항목을 동시에 검사하여 종합적으로 판정이 이루어집니다.
ALT(또는 SGPT)와 AST(또는 SGOT)는 염증 소치라 불리는데, 간에 염증이 생겨 간세포가 파괴되면 간세포 안에 있던 이들 효소가 혈액 중으로 유출되어 수치가 높게 나타나게 됩니다. 급성간염일 때는 이들 수치가 1천 단위 이상 올랐다가 회복과 함께 낮아지므로 급성간염의 진단과 평가에 유용한 지표입니다. 만성간염의 경우에는 수십-수백대 정도로 정상보다 높은 상태에서 올르락 내리락하며 변동하게 됩니다. 이 수치들은 심장병이나 근육질환에서도 상승하고 지방간, 간경변증, 간암과 같은 질환에서도 상승할 수 있으며 변동의 범위가 넓으므로 AST, ALT가 약간 상승하였다고 하여 간질환이 있거나 악화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 하겠습니다. 실제로 간경변환자라도 간기능 검사가 정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 밖에도 황달의 정도를 알기 위해 혈중 빌리루빈을 측정하는데, 빌리루빈이 많이 상승할수록 간질환의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Alkaline Phosphatase는 담즙정체나 종양과 같은 간실질의 침윤성 질환(예: 종양)에서 상승하고 감마 GTP는 흔히 지방간 수치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알콜성 간질환의 진단에 사용됩니다. 혈청 알부민과 프로트롬빈은 간에서 합성되는 생리필수 단백질로써 급성이나 만성의 간질환이 심한 경우 감소하게 되므로 간질환의 예후를 판별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간기능 검사 테이블 간기능 검사 정상범위 Alanine aminotransferase(ALT, SGPT) <35 IU/L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SGOT) <35 IU/L 빌리루빈(총) 0-1.5 mg/dL 혈청 알부민 3.5-5.5 g/dL Alkaline phsphatase(ALKP) 33-131IU/L(25-60세), 51-153IU/L(60세 이상) γ-Glutamyltransferase (감마 GTP) 11-63IU/L(남), 8-35 IU/L(여)
특수 검사
간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여러 가지 특수검사가 시행됩니다.
특수 검사 테이블 검사법 설명 AFP(alphafetoprotein) 종양수치라고 불림. 간암환자에서 상승됨.
간암으로의 전이율이 높은 간경변환자는 정기적으로 측정이 필요함.초음파검사 간을 초음파로 비춰봄으로써 종양이나 담석, 복수여부를 아주 효과적으로 진단해 낼 수 있다.
필수적인 진단검사.CT, MRI 컴퓨터로 몸을 잘라 보여주는 단층촬영법으로 초음파보다 더 구체적인 영상을 보여준다. 간동맥 조영술 간동맥에 카테터를 설치하여 조영제를 넣으면 간암의 위치나 분포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항암제를 종양내로 주입함으로써 치료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기타 간염 검사
간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여러 가지 특수검사가 시행됩니다.
기타 간염 테이블 구분 설명 A형 간염 IgM형 간염 A항체 B형 간염 - HBsAg(표면항원)
: 양성인 경우 B형 간염에 감염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 함
- HBsAb(표면항체)
: 양성인 경우 과거에 B형 간염에 걸려 앓고 난 뒤 현재는 항체가 생겨 면역을 획득한 상태
- HBcAg(핵항원)
: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안에 쌓여 있어 일반혈액검사로는 검출이 안됨
- HBcAb(핵항체)
: 수치가 높은 경우 현재 B형 간염에 걸려있음을 의미하며 바이러스가 체내에 감염된 적이 있으면 모두 양성으로 나타남
- HBeAg(e항원)
: 양성인 경우 B형 간염 바이러스가 다량으로 존재하며 전염성이 있음을 의미함
- HBeAb(e항체)
: e항원이 음성이고 e항체가 양성이면 B형 간염바이러스의 증식이 낮은 수준에 있음을 의미함
- HBV DNA
: 양성이면 현재 B형 간염바이러스가 전염력이 있으며 바이러스 증식이 활발함을 의미함
임상적으로 e항원과 더불어 항바이러스 치료의 반응을 보는 검사로 사용함
예) HBV-DNA(+) 균의 번식력과 전염력이
HBeAg(+) 왕성한 상태를 뜻함
HBeAb(-)
HBV-DNA(-) 균의 번식력과 전염력이
HBeAg(-) 거의 없고 이때 80%의
HBeAb(+) 환자가 간기능을 정상으로 유지함
예) "B형간염바이러스가 활동성이다"라는 의미는?
B형 간염바이러스가 번식력과 전염력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활동성이다라는
말대신 전염력과번식력이 있다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C형 간염 HCV Ab 양성 : C형 간염바이러스가 있거나 앓았던 적이 있는 경우를 뜻함
(1세대 항체검사 : EIA, 2세대 항체검사 : RIBA)
HCV RNA양성 : C형 바이러스가 있으면서 번식력과 전염력이 있는 경우를 뜻함D형 간염 IgM형 간염 D항체
HDV-RNAE형 간염 HEV-RNA
산모들의 15-20%에서 전격성 간염을 초래하나 우리나라에서는 드물다.
파마킹 관련 제품
- 치료와 식이요법
-
치료
간이 나쁘다고 하여 식사요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습니다. 증상에 따라 식사요법이 약간씩 다를 뿐 제한이 없으므로 크게 부담을 갖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간이 나쁘다는 진단을 받으면 좋은 음식, 가릴 음식부터 따지는 환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음식이 좋다고 약처럼 집중적으로 먹는 것은 잘못이며, 영양소가 골고루 포함되도록 균형있게 정상식을 입맛에 맞도록 조리해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이 나쁜 환자는 기본적으로 하루 세끼의 식사를 영양의 과부족없이 균형을 맞추면서 파괴된 간의 재생을 돕기 위해 고단백질, 고칼로리, 고비타민식을 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하루에 체중 kg당 1g이상의 단백질과 kg당 35~40 칼로리를 섭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즉 체중 60kg인 사람은 60g 이상의 단백질을 매일 먹는 셈인데 육류의 살코기로 약 300g에 해당됩니다.
간장병의 식이요법에서 양질의 단백질로 권장되는 것은 육류, 우유, 달걀, 콩 등입니다. 육류는 종류와 부위에 따라 영양가의 차이가 많은데, 간장병에는 기름기가 있는 부위보다는 살코기쪽이 좋습니다. 기름기 적은 닭고기 살코기, 소돼지의 대퇴부 고기, 쇠간이나 닭간은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미네랄도 풍부한 음식입니다. 간장병은 식욕이 떨어지고 소화능력이 약해져 있으므로 고기를 장시간 끓이거나 갈아서 쓰면 더 효과적입니다. 콩은 간장병식에 적극 권장할 만한 식품으로 소화흡수율이 90%이상이고 단백질 외에 비타민, 미네랄도 균형있게 함유한 이상적인 식품입니다. 두부, 비지, 순두부, 된장, 청국장, 미싯가루 등 콩을 기본으로 하는 식품들을 본인의 기호에 맞도록 조리하여 섭취하도록 합니다. 우유, 달걀도 양질의 단백질로써 다른 비타민이나 주요 전해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환자에게 좋은 음식입니다.
탄수화물은 적절한 칼로리를 제공하고 단백질의 소모를 막기 위하여 충분히 공급토록 합니다. 옥수수, 감자, 국수류, 라면, 떡, 빵, 아이스크림, 초콜릿, 케익, 과일(또는 쥬스나 통조림), 잼이나 꿀, 설탕 등도 훌륭한 탄수화물의 공급원입니다. 커피나 청량음료도 크게 제한할 필요가 없습니다.
지방질은 구역질이 심해서 느끼한 음식이 받지 않거나 지방식을 먹으면 설사가 나는 경우가 아니라면 크게 제한할 필요는 없습니다. 음식은 매운 것은 괜찮지만 짠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B와 C는 간에 지방의 축적을 방지하고 간 세포의 재생 및 효소 기능 활성화에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신선한 야채와 과일을 반찬이나 간식으로 적절하게 섭취하도록 합니다. 야채는 조리시간을 되도록 짧게 하고 사용하는 물의 양도 적게 하고, 큼지막하게 썰어 비타민의 손실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것이 좋은 요리법입니다.
간환자가 피해야 할 것은 술과 효과가 증명되지 않은 민간요법이나 식이요법입니다. 술은 간 독이므로 마실수록 간이 나빠집니다. 그러므로 간이 나쁘다면 술을 완전히 끊어야 합니다. 또한 성분 미상의 한약이나 민간 요법, 녹즙도 병든 간을 더 힘들게 할 수 있습니다. 간경변증 환자의 경우에는 여름철에 어패류를 먹고 치명적인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 시기에는 피조개나 해삼, 생굴 같은 어패류를 날로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야채와 과일을 반찬이나 간식으로 적절하게 섭취하도록 합니다. 야채는 조리시간을 되도록 짧게 하고 사용하는 물의 양도 적게 하고, 큼지막하게 썰어 비타민의 손실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것이 좋은 요리법입니다.식이요법
간질환을 가진 환자와 가족들에게는 무엇이든 효과가 있다는 말에 혹하기가 쉽습니다. 따라서 만병통치약처럼 선전하는 민간요법이나 식이요법, 약들을 오남용하기가 쉽습니다. 병든 간은 회복을 위해 쉬어야 하는데, 증명되지 않은 물질들을 섭취하면 이는 결국 간에서 대사처리되어야 하므로 더 많은 부담을 간에게 주는 결과를 가지고 옵니다. 그 결과 간이 더나빠지거나 심지어 사망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간이 나쁜 환자는 의사나 약사와의 상의 없이는 어떤 약이든지 함부로 먹어서는 안됩니다. 진통제, 항생제, 관절염약, 신경안정제 또는 호르몬제(피임제), 피부약이나 감기약도 함부로 복용해서는 안됩니다. 성분 미상의 한약이나 민간 요법, 또는 녹즙도 간경변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간질환 환자는 항상 주의해야 합니다.
파마킹 관련 제품